전공과정 이수방법
비즈니스일어전공은 교양교육과정을 공통으로 이수해야 하며, 이에 더해 전공교육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학점을 이수하도록 한다. 2025학년도 입학생부터는 단일전공의 경우 전공 최저 60학점을 이수하여야 하며, 마이크로디그리 전공 12학점(타 전공도 가능)도 포함한다.
심화전공 이수 학점
- 본인 전공에 개설된 전공 60학점을 이수 할 경우
- 본인 전공에 개설된 전공 48학점과 본인 전공에서 개설된 마이크로디그리 12학점을 이수 할 경우
부·복수전공 이수 학점
- 복수전공의 경우 최저 36학점(전공핵심 9학점 필수), 부전공은 최저 24학점(전공핵심 6학점 필수)이상을 이수한다.
졸업 이수 학점
- 졸업에 필요한 학점은 최소 130학점 이상이다. 또한, 전공 교과목 중에서 전공핵심으로 지정된 12학점은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표 참조).
구분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이수학년 | 개설학기 |
전공핵심 | 일어문법 | 3 | 2 | 2 | |
일어능력시험 | 3 | 3 | 1 | ||
일본지역연구 | 3 | 3 | 2 | ||
AI실무일회화 | 3 | 4 | 1 |
마이크로디그리(Micro Degree)
교육목적
초중급 과정의 교과목 이수를 통해 일어 교수학습 과정의 기본 목표인 일본어 능력의 향상은 물론, 상호 간 언어문화 및 생활문화 등을 이해하고 이를 의사소통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해, 국경을 초월한 글로벌 환경, 특히 한일 간 국제 비즈니스에 필요한 실용적인 언어구사 능력를 제고하고 이를 적재적소에서 구사해 글로벌 인재로서의 기본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내용
마이크로디그리 <실용일어 커뮤니케이션 과정>은 초급과정과 중급과정 각각 2개의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본어 능력 향상과 실용적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초급과정인 <기초일회화>는 일본어 초급 회화 능력을 키우는 수업으로, 기본적인 일본어 의사소통 표현을 학습하여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소통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일어문법>은 일본어의 기본 문법 체계를 학습하는 과정으로, 일본어 문형, 활용형 등 구조적 특징을 이해하고 문장을 구성하는 기초 능력을 함양한다.
중급과정인 <일어능력시험>은 일본어 공인 시험(JLPT, JPT) 대비를 위한 수업으로, 시험의 구성과 주요 출제 영역을 심도 있게 학습한다. 문법, 어휘, 독해를 중심으로 실전 문제를 풀이하며, 일본어의 실질적인 운용 능력을 강화한다. <일본지역연구>는 일본의 언어와 문화, 정치, 경제, 사회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수업으로, 지역 문화를 이해하고 상호 문화적 관점에서 세계 시민으로서의 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일본어의 기초부터 심화된 실용 능력까지 체계적으로 학습하며, 글로벌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게 된다.
이수방법
- 본인 전공에 개설된 마이크로디그리 전공은 전공 학점으로만 인정되며, 타 전공에서 개설된 마이크로디그리 12학점을 이수하여야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한다.
-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이수하기 위해 필요한 학점은 지정된 교과목 12학점을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표 참조).
Micro Degree명칭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이수학년 | 개설학기 |
실용일어 커뮤니케이션 과정 | 기초일회화 | 3 | 2 | 1 | |
일어문법 | 3 | 2 | 2 | ||
일어능력시험 | 3 | 3 | 1 | ||
일본지역연구 | 3 | 3 | 2 |